꽃범의꼬리(7)
-
만수국
산책길에 만난 만수국 2010/08/04 - [그림들/산유화] - 만수국 무슨꽃일까...못찾겠다. 옆은 다알리아 꽃범의 꼬리 이름모를 꽃 2010/07/31 - [그림들/산유화] - 꽃범의꼬리 이름모를 꽃 T.S Nam - Moonlight Serenade
2012.10.27 -
산초나무와 초피나무
진한색으로 익은 산초열매 작년에 강릉 임업훈련원으로 숲가꾸기 교육을 갔다가 교육장에 심어놓은 산초나무와 초피나무를 보았다. 초피나무는 경상도에서는 제피나무라고 불렀다. 산초와 제피나무...똑 같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다른나무다. 잎을 따다 냄새를 맡으니 추어탕 먹을때 넣어먹던 제피냄새가 났었다. 비린내를 없에주는 역활을 하는 일종의 향료 역활을 한다. 같이 교육받은 하연이 형님은 제피 잎파리를 따다가 고추장에 박아 짱아치 처럼 먹으면 참 맛이 좋다고 한 기역이 난다. 2009/04/17 - [낙서장/이야기] - 임업기계훈련원 입소 -2- 안산 자연생태공원 연못주변에서 산초나무를 보았다. 잎을 따서 향기를 맡아보니 그때 맡았던 그 향이다. 그러고 보니 희망근로 올라가는 나무계단 오른쪽에도 있다. 열..
2010.08.28 -
당귀
자연학습장에는 봄부터 보아온 당귀꽃이 피었다. 키가크고 굵어 줄기차게 내리던 장맛비에도 끄떡없이 서 있다. 당귀는 여성 한방에 유효한 약재가 되는 약초이다.당귀 [當歸] 한국에서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中國當歸)를 사용하고 일본에서는 왜당귀(Angelica acutiloba (Sieb. & Zuc.) Kitagawa)를 사용한다.마땅히 돌아오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당귀(當歸)'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한다. 이는 중국의 옛 풍습에 부인들이 싸움터에 나가는 남편의 품속에 당귀를 넣어 준 것에서 유래하는데 전쟁터에서 기력이 다했을 때 당귀를 먹으면 다시 기운이 회복되어 돌아올 수 있다고 믿..
2010.08.24 -
안산에서 먹이찾아 거니는 장꿩
이곳 안산에는 꿩이 많다. 꿩이 사람기척을 듣고 꿱꿱거리며 푸드덕 날아가는 소리에 깜짝깜짝 놀라기 일쑤다. 다행이 내가 먼저 보면 이렇게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불행하게도 줌이 시원찮아 똑딱이로 살살댕겨서 잡아도 또렷하지가 않다. 똑딱이의 한계를 이럴때 절감한다. 그렇다고 큰 카메라를 가지고 다닐수도 없은 상황이고...요즈음 처럼 더운날씨에는 똑딱이도 가지고 다니기가 쉽지않다. 올 년초에 눈온날이면 안산 곳곳에 꿩 먹이로 옥수수를 놓아주었다. 잡는 사람도 없고 포식자도 없으니 자연히 개체수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산고양이가 사냥을 하는 모양이다. 가끔 꿩 깃털이 보이기도 한다. 꼬리 귓털을 주어 옛 화랑처럼 모자옆에 꽂고 일하는 이도 있다.꿩 [pheasant] 닭목 꿩과의 새. 학명 Phasianus..
2010.08.17 -
쑥부쟁이 비슷한 아스터
학명은 Aster novi-belgii 이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여러해살이 풀이다. 많은 품종이 있으며 분화및 절화로 많이 이용되는 종류이다. 언뜻 쑥부쟁이를 연상시킨다. 꽃범의꼬리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Physostegia virginiana 분류 꿀풀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자생지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 크기 높이 60∼120cm 피소스테기아라고도 한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다.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고 여름의 건조에 약하다. 줄기는 사각형이고 높이 60∼120cm이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줄기가 무더기로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에서 줄 모양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피고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종처럼 생기고 화..
2010.08.10 -
노랑물 봉선화와 코스모스
봉선화도 노랑 봉선화가 있나보다. 인공수로 조경석 틈에서 홀로 피어있는 노랑꽃이 찾아보니 노랑물 봉선화란다. 손톱에 노랑물 들일 수 있을지 모르겠다.ㅋ 요즈음 우리 희망근로 아줌마들은 봉선화 물들이느라 정신이 없다. 고동색으로 들이고 메니큐어로 니스칠까지 한다. 이제 코스모스도 제법 많이 보인다. 국도변에 키큰 코스모스는 못 보았지만 근교만 나가도 있을듯 싶다.노랑물봉선화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 분류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봉선화과 분포지역 한국(경남·경북·경기·평북·함남·함북) 서식장소 산기슭의 습지 크기 높이 약 60cm 산기슭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60cm 정도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연하다. 줄기는 물기가 많고 곧게 서며 가지를 치고 특히 마디가 두드러진다. 잎은 어긋..
2010.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