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릇꽃도 활짝 피었다.
2010. 8. 18. 01:00ㆍ그림들/산유화
꼬리풀과도 비슷하고 꽃이 맥문동처럼 생겨 처음에는 휏갈렸지만 찾아보니 이름이 무릇이다. 긴줄기가 쑤우욱 올라와 꽃을 피운다. 무릇은 히아신스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 원산이며 일본과 중국에도 서식하며 볕이 좋은 산기슭이나 들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꽃줄기의 높이는 약 20~50 센티미터이다. 잎은 2개씩 나는데 길이 10~30 센티미터, 너비 4~6 밀리미터 정도로 길쭉하다. 봄과 가을 두 차례 난다. 7~9월에 줄기 끝에 조그맣고 분홍색인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꽃차례의 길이는 10 센티미터 남짓이며 수술 6개, 암술 1개이다. 열매는 길이 4~5 밀리미터 되는 공 모양 삭과이다.
품종으로 흰무릇(Scilla scilloides for. albiflora Y.N.Lee)이 있다.
비늘줄기(인경)와 어린 잎을 조려 먹는다. 한방에서 비늘줄기를 면조아(綿棗兒)라고 하여 요통, 타박상에 처방하는 약으로 쓴다.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Scilla scilloides
분류 백합목 백합과
분포지역 아시아 동북부의 온대에서 아열대까지
서식장소 약간 습기가 있는 들판
꽃은 연한 홍자색이고 화피갈래조각과 수술은 각각 6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씨방은 타원형이고 잔털이 3줄로 돋아 있다. 열매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길이 4mm이다. 비늘줄기와 어린 잎을 엿처럼 오랫동안 조려서 먹으며, 구황식물(救荒植物)의 하나이다. 뿌리를 구충제로 사용한다. 한국, 아시아 동북부의 온대에서 아열대까지 널리 분포한다. 백색 꽃이 피는 것을 흰무릇(for. alba)이라고 한다.
꽃말은 강한 자제력
2010/08/01 - [그림들/산유화] - 맥문동과 참당귀
난초처럼 길쭉하면서 위로 쭉 뻗은 꽃대에 연보라색의 여름꽃이 무리지어 보라색 주단을 깔아놓은 듯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꽃은 일반인에게 다소 생소한 맥문동이다. 지표면에 잔뿌리가 치밀하게 엉기므로 토양의 유실을 막는 데 큰 몫을 하며 늘 푸른 잎을 가지고 있어 아파트 화단이나 공원의 나무 아래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는 음지식물로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맥문동은 자생력이 강해서 겨울에도 잎이 죽지 않고 살아 있는 경우가 많은데, 뿌리의 굵은 부분이 보리와 비슷하고 잎이 겨울에도 시들지 않아 맥문동(麥門冬)이란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안산 곳곳에 심어져있다.
한의학적으로 맥문동은 성질이 약간 차며, 맛은 달면서 약간 쓰다. 음을 보하고 진액을 생기게 하는 효능이 있는데, 호흡기가 허약해져 발생하는 폐결핵`만성기관지염`만성인후염`천식`백일해 등에서 발생하는 증상인 마른기침, 객담이 끈끈하여 잘 나오지 않거나 심하면 객담에 피가 섞여 나오는 객혈(喀血)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약리학적으로 맥문동은 항산화 작용이 있고, 관상동맥의 혈류량 촉진과 심장근육의 수축력을 개선하는 강심 작용이 있다고 보고됐다. 그리고 면역증강 작용이 있고 혈당강하, 이뇨작용, 진해거담, 백색포도상구균`대장균`인플루엔자균 등에 억제 작용이 있다고 밝혀졌다.
'그림들 > 산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잎과 꽃이 단한번도 만나지 못한다하여 상사화라고 하였던가.. (7) | 2010.08.20 |
---|---|
옥잠화 (2) | 2010.08.19 |
안산에서 먹이찾아 거니는 장꿩 (4) | 2010.08.17 |
활작핀 부레옥잠을 보았다. (6) | 2010.08.16 |
수크령 (6) | 2010.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