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계국과 벌개미취
2010. 8. 3. 01:00ㆍ그림들/산유화
황금색으로 핀 금계국 언뜻보기엔 황 코스모스랑 비슷하다.
자세히 보면 틀리지만 나도 처음엔 코스모스가 아닌가 싶었다. 산능선에서 또는 불법경작지 주변에서 요즈음 자주 보는 꽃이다. 황금색이라 멀리서도 눈에 잘 띤다.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학명 Coreopsis drummondii
분류 국화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서식장소 화단
크기 높이 30∼60cm
[출처] 두산백과사전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ster koraiensis
분류 국화과
분포지역 한국(전남·경남·경북·충북·경기)
서식장소 습지
크기 높이 50∼60cm
꽃은 6∼10월에 피는데, 두화(頭花)는 연한 자줏빛이며 지름 4∼5cm로서 줄기와 가지 끝에 1송이씩 달린다. 총포는 공을 반으로 잘라놓은 모양이며 지름 약 8mm, 길이 약 13mm이다. 포조각은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나고 4줄로 늘어선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바소꼴이고 11월에 익는다. 길이 4mm, 지름 1.3mm 정도이고 털과 관모가 없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한국 특산종으로 전라남도·경상남도·경상북도·충청북도·경기도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두산백과사전
쌍떡잎식물 용담목 조름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Nymphoides peltata
분류 조름나물과
분포지역 한국(전북·경남·경기)·일본·중국·몽골·시베리아·유럽 등지
서식장소 늪이나 못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7∼8월에 지름 3∼4cm의 노란 꽃이 피는데, 산형꽃차례로 마주난 잎겨드랑이에서 2∼3개의 꽃대가 나와 물 위에 2∼3송이씩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바소꼴이다. 화관은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며 9∼10월에 익는다. 종자는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납작하며 날개가 있다. 한국(전북·경남·경기)·일본·중국·몽골·시베리아·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활엽 관목.
학명 Abelia mosanensis
분류 인동과
분포지역 평남 맹산
서식장소 해발고도 250m 정도의 산기슭 양지
크기 높이 2m, 잎 길이 3∼7cm
해발고도 250m 정도의 산기슭 양지쪽에서 자란다. 높이는 2m 정도이고 가지의 속은 흰색을 띤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3∼7cm의 바소꼴로 양 끝이 좁으며 앞면에는 맥을 따라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5월에 엷은 홍색 꽃이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두상(頭狀)으로 달리며 한 꽃대에 3개씩 핀다.
포(苞)는 바소꼴 또는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톱니가 없다. 통(筒) 모양의 화관(花冠)은 연분홍색이고 안쪽은 흰색이다. 열매는 벌어지지 않으며 종자는 1개이고 9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는다. 평안남도 맹산(孟山)에 야생한다.
[출처]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beautiful lady
자세히 보면 틀리지만 나도 처음엔 코스모스가 아닌가 싶었다. 산능선에서 또는 불법경작지 주변에서 요즈음 자주 보는 꽃이다. 황금색이라 멀리서도 눈에 잘 띤다.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학명 Coreopsis drummondii
분류 국화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서식장소 화단
크기 높이 30∼60cm
[출처] 두산백과사전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ster koraiensis
분류 국화과
분포지역 한국(전남·경남·경북·충북·경기)
서식장소 습지
크기 높이 50∼60cm
꽃은 6∼10월에 피는데, 두화(頭花)는 연한 자줏빛이며 지름 4∼5cm로서 줄기와 가지 끝에 1송이씩 달린다. 총포는 공을 반으로 잘라놓은 모양이며 지름 약 8mm, 길이 약 13mm이다. 포조각은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나고 4줄로 늘어선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바소꼴이고 11월에 익는다. 길이 4mm, 지름 1.3mm 정도이고 털과 관모가 없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한국 특산종으로 전라남도·경상남도·경상북도·충청북도·경기도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두산백과사전
쌍떡잎식물 용담목 조름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Nymphoides peltata
분류 조름나물과
분포지역 한국(전북·경남·경기)·일본·중국·몽골·시베리아·유럽 등지
서식장소 늪이나 못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7∼8월에 지름 3∼4cm의 노란 꽃이 피는데, 산형꽃차례로 마주난 잎겨드랑이에서 2∼3개의 꽃대가 나와 물 위에 2∼3송이씩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바소꼴이다. 화관은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며 9∼10월에 익는다. 종자는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납작하며 날개가 있다. 한국(전북·경남·경기)·일본·중국·몽골·시베리아·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활엽 관목.
학명 Abelia mosanensis
분류 인동과
분포지역 평남 맹산
서식장소 해발고도 250m 정도의 산기슭 양지
크기 높이 2m, 잎 길이 3∼7cm
해발고도 250m 정도의 산기슭 양지쪽에서 자란다. 높이는 2m 정도이고 가지의 속은 흰색을 띤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3∼7cm의 바소꼴로 양 끝이 좁으며 앞면에는 맥을 따라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5월에 엷은 홍색 꽃이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두상(頭狀)으로 달리며 한 꽃대에 3개씩 핀다.
포(苞)는 바소꼴 또는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톱니가 없다. 통(筒) 모양의 화관(花冠)은 연분홍색이고 안쪽은 흰색이다. 열매는 벌어지지 않으며 종자는 1개이고 9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는다. 평안남도 맹산(孟山)에 야생한다.
[출처]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