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꽃(6)
-
카메라의 사진을 정리하면서...
요즈음은 꽃구경도 못하고 카메라 가지고 다녀도 어떤때는 배터리가 없고 어떤때는 저장장치가 없다고 하고 해서 좋아하는 꽃들을 많이 놓쳤다. 지방으로 지게차 등록하러 다니면서 찍은 사진들이다. 4월27일 충북 진천 거래처에의 2.5톤 디젤 지게차 자동발 등록하고 골목을 돌아나오는데 활짝핀 명자... 반가움에 차세우고 몇장 찍었다. 저뒤에 보이는 지붕색깔이 참 곱다. 신월동 삼실근처 뒷골목 빌라 화단에 핀 하얀꽃 5월2일 서대문을 지나다가 안산의 자연학습장을 들렀다. 보라색의 철쭉꽃 범의귀 매발톱 서울능금꽃 애기똥풀 황매화 겹꽃 황매화 황매화 겹꽃... 이정명 (Jimmy Lee Jones) - Since You've Gone Away
2011.06.04 -
자연학습장의 박하
자연학습장에 박하 꽃이 피었다. 언젠가 숲해설가 선생께서 잎을따서 향을 맡아보라고 해서 맡아봤더니 화하고 진한 박하향이 났었다. 그러더니 이제 꽃이 피기 시작한다. 얼마전에 내가 못찾았던 이름인데 꽃잎을 따서 향을 맡아보고 알았다. 박하는 꿀풀과에 속하는 숙근성의 다년생 풀이다. 한방에서는 박하를 경엽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박하차는 위장치료에 이용되고 있다.박하 [薄荷]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숙근초. 학명 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분류 꿀풀과 분포지역 전세계 서식장소 습기가 있는 들 크기 높이 60∼100cm 야식향(夜息香)·번하채·인단초(仁丹草)·구박하(歐薄荷)라고도 한다. 습기가 있는 들에서 자란다. 높이 60∼100cm이다. 줄기는 단면이 사..
2010.08.27 -
당귀
자연학습장에는 봄부터 보아온 당귀꽃이 피었다. 키가크고 굵어 줄기차게 내리던 장맛비에도 끄떡없이 서 있다. 당귀는 여성 한방에 유효한 약재가 되는 약초이다.당귀 [當歸] 한국에서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中國當歸)를 사용하고 일본에서는 왜당귀(Angelica acutiloba (Sieb. & Zuc.) Kitagawa)를 사용한다.마땅히 돌아오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당귀(當歸)'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한다. 이는 중국의 옛 풍습에 부인들이 싸움터에 나가는 남편의 품속에 당귀를 넣어 준 것에서 유래하는데 전쟁터에서 기력이 다했을 때 당귀를 먹으면 다시 기운이 회복되어 돌아올 수 있다고 믿..
2010.08.24 -
만수국
언제부터 피어나기 시작한 이 꽃이름을 몰라 답답했었다. 그제 마침 근방에서 작업끝나고 쉬는시간에 희망근로 대기천막으로 온 영월 컨츄리맨 상용씨에게 물어보니 금송화라고 한다. 퇴근해서 부리나게 찾아보니 금송화·불란서금잔화·홍황초(紅黃草)라고도 불린다.잎은 같은데 꽃 색갈이 다른것도 있다. 만수국 [萬壽菊, French marigold]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Tagetes patula 분류 국화과 원산지 멕시코 분포지역 한국·유럽·아프리카 등지 서식장소 양지바른 모래흙 크기 높이 20∼40cm금송화·불란서금잔화·홍황초(紅黃草)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모래흙에서 잘 자란다. 높이 20∼40cm이다. 줄기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녹색이다.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고 1회 ..
2010.08.04 -
금계국과 벌개미취
황금색으로 핀 금계국 언뜻보기엔 황 코스모스랑 비슷하다. 자세히 보면 틀리지만 나도 처음엔 코스모스가 아닌가 싶었다. 산능선에서 또는 불법경작지 주변에서 요즈음 자주 보는 꽃이다. 황금색이라 멀리서도 눈에 잘 띤다. 금계국 [金鷄菊, Golden-Wave]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학명 Coreopsis drummondii 분류 국화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서식장소 화단 크기 높이 30∼60cm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화단에 재배한다. 줄기 윗부분에 가지를 치며 높이 30∼60cm이다. 잎은 마주나고 1회 깃꼴겹잎이다.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잎은 없다. 옆갈래조각은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고 꼭대기 잎이 가장 크며 둥근 달걀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모두 밋밋..
2010.08.03 -
안산의 겹꽃삼잎국화
황매화가 겹으로 피는 것처럼 꽃잎을 수북히 얹고 있어 자연학습장에 피어있는 노란꽃이 눈에 확 뜨여 한두번 찍어서 올렸지만 이름을 몰랐는데 오늘 알았다. 삼잎국화는 무성한 잎에 튼튼한 대궁을 소유하고 있다. 잎의 모양이 삼의 이파리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마치 불두화처럼 보글보글한 머리통을 닮은것 같기도 하지만 삼잎국화는 여름국화의 대명사하고 한다.겹꽃삼잎국화, 학명 Rudbeckia laciniata var. hortensis Bailey 이명 겹꽃삼잎국화, 삼잎국화 영명 Golden Glow 과명 국화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다년초 어린 잎은 식용 및 관상용. 잎은 어긋나며 근생엽은 3~7갈래로 천열하고 아래쪽 잎 우상복열한다. 경생엽은 3~5갈래로 천열하고 엽병이다. 가장 위쪽 잎은 아..
2010.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