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레옥잠(9)
-
부레옥잠
호수공원 호수에핀 부레옥잠부레옥잠2010/08/16 - [그림들/산유화] - 활작핀 부레옥잠을 보았다.
2012.07.07 -
호수공원의 가을...
일요일아침 호수공원의 단풍이 궁금하기도 하고, 한바퀴 운동삼아 휘이 둘러보기로 하였다. 조각상의 잔디도 푸르름을 뒤로하고 황금색으로 옷을 갈아입었다. 쭉 뻗어올라간 오른쪽 나무는 메타쉐콰이어 나무인듯 하다. 단체로 라이딩나온 사람들도 많다. 넝쿨장미...아직도 장미정원과 곳곳에 장미가 보였다. 이슬 머금은 장미꽃 붉은 장미꽃도 있다. 하얀 이슬이 차가운듯 수줍게 웃고 있는 장미.. 가을에 꽃피운 장미꽃도 불타는 여름의 화려함이 없어서인지 참 외롭게 보인다. 크리스마스꽃 포인세티아 가을의 상징 코스모스도 멋드러지게 피어있다. 국화꽃 아치 국화꽃인데...꼭 콩나물같다. 보라색 국화 활짝핀 호접란 꽃을 트럭에 싣고와서 판매도 한다. 색깔이 참 곱다. 팻말이 없어 이름을 모르겠지만 참 특이하게 생겼다. 새 형상..
2011.10.23 -
배롱나무
오늘 태풍으로 넘어간 나무들 파악하러 봉원사 넘어 가다가 배롱나무에 핀 붉은꽃을 보았다. 흔히 목백일홍으로 알려진 배롱나무는 부처꽃과의 낙엽 소교목으로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으로 윤이 난다. 꽃색은 옅은 보라색도 있고 흰색도 있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10월에 익고 중국이 원산지라고 한다.배롱나무 [crape myrtle]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부처꽃과의 낙엽 소교목. 학명 Lagerstroemia indica 분류 부처꽃과 원산지 중국 크기 높이 약 5m 꽃이 오랫동안 피어 있어서 백일홍나무라고 하며,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간즈름나무 또는 간지럼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약 5m이다. 나무껍질은 연한 붉은 갈색이며 얇은 조각으로 떨어지면서 흰 무늬가 생긴다. 작은가지는 네모지고 털이..
2010.09.08 -
코스모스
여름부터 핀 코스모스가 제법 키가 많이 컸다. 조경석옆이나 도로옆 경계석부근에 심어놓은 코스모스키가 훌쩍 자랐다. 이젠 파란하늘과 어울려 제법 하늘거리기 까지 한다. 가을로 가는가 보다... 가을내음이 물씬 나네.... 2010/06/23 - [그림들/산유화] - 코스모스가 피었다. 코스모스 건너편 능선에 피어있는 벌개미취 2010/08/03 - [그림들/산유화] - 금계국과 벌개미취 안산공원에 가는 길에 피어있는 무궁화꽃 2010/07/27 - [그림들/산유화] - 안산의 무궁화꽃 -2- 백일홍 2010/07/13 - [그림들/산유화] - 해바라기꽃 몇일전에 봤던 그 오리가 아직도 방죽에 남아있다. 부레옥잠꽃 2010/08/16 - [그림들/산유화] - 활작핀 부레옥잠을 보았다. RalfEugenBar..
2010.09.06 -
연꽃 (홍련)
지자체 마당에 연꽃이 피었다. 꽃몽오리가 생기더니 붉게 피었다. 물론 지자체 수생식물을 심어놓은 큰 화분에서 피었다. 영어의 로터스는 연과 수련을 함께 취급한다. 나일강가에서 피는 이집트인의 신성한 로터스는 수련이고 그리스신화에서 식연인(lotus eater)이 먹은 로터스는 벌노랑 종류이다. 인디안로터스(Indian lotus)는 연이며 인도의 고대민속에서 여성의 생식을 상징하고 다산(多産), 힘과 생명의 창조를 나타낸다. 또한 풍요·행운·번영·장수·건강 및 명예의 상징 또는 대지와 그 창조력, 신성 및 영원불사의 상징으로도 삼았다. 인도에서는 BC 3000년경으로 추정되는 연꽃의 여신상(女神像)이 발굴되었고, 바라문교(婆羅門敎)의 경전에는 이 여신이 연꽃 위에 서서 연꽃을 쓰고 태어났다는 기록이 있다..
2010.08.25 -
활작핀 부레옥잠을 보았다.
부레옥잠을 몇번 올렸지만 활짝핀 꽃은 처음보았다. 여름이 되면서 지자체 마당에 커다란 물화분에 수생식물을 키우고 있다. 그옆에 박도 있고 도마토, 수세미등도 심어놓았다. 찾아오는 어른신들은 그 옛날 울타리로 타고 올라간 수세미나 박 보다는 정감이 덜하겠지만 그때 시절이 그리울 이고 자라나는 어린이들은 마냥 신기하기만 할것이다. 부레옥잠은 물옥잠과의 식물이다. 아메리카 대륙이 원산지로 열대지방에서는 여러해살이지만 한국에서는 한해살이다. 연보라빛 꽃은 7~8월경에 피는데 밑부분은 통처럼 생겼으며, 윗부분은 깔때기처럼 퍼져 있다. 부레옥잠 [water hyacinth] 외떡잎식물 분질배유목 물옥잠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Eichhornia crassipes 분류 물옥잠과 원산지 열대 ·아열대 아메리카 서식장소..
2010.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