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들(272)
-
안산의 누리장나무 - 2 -
안산은 이곳저곳에 누리장나무의 흰꽃이 피었다. 조그마한 나무에서부터 쳐다보아야 할 정도로 큰 나무에핀 흰꽃은 참 보기좋다. 그윽한 향기도 있는듯 아카시아 향보다는 못 하지만 싱그럽다. 그 나무를 쳐다보는데 안산 지명의 유래가 적혀있다. 해발 295.9m의 안산(鞍山)은 인왕산에서 서쪽으로 비스듬히 뻗어 무악재를 이루며 솟은 산으로서 조선건국 초기 도성을 정할때 그 터로 거론 될 만큼 명산이다. 안산은 동봉과 서봉의 두 봉우리로 이루어져, 산의 모양이 마치 말이나 소에 얹는 안장 즉 길마와 같이 생겼으므로 부쳐진 이름으로 그 동쪽에 있는 현저동에서 홍재동을 넘는 고개를 길마재, 즉 안현(鞍峴)이라 하였다. 또한 영조가 무악재 고개를 넘을때마다 그 봉우리에서 아버지 숙종을 바라보며 생전을 기렸던 곳이라하여 ..
2010.08.02 -
맥문동과 참당귀
안산의 곳곳에 심어져있는 맥문동에 보라색 꽃이 피기 시작하였다. 아직 활짝 피진않았지만 나무 그늘밑이나 산책로 주변에 꽃몽오리가 달려있다.맥문동 [麥門冬, snake's beard]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학명 Liriope platyphylla 분류 백합목 백합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타이완 서식장소 그늘진 곳 크기 길이 30∼50cm, 나비 8∼12mm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모여 나와서 포기를 형성하고, 흔히 뿌리 끝이 커져서 땅콩같이 된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20∼50cm이다. 잎은 짙은 녹색을 띠고 선형(線形)이며 길이 30∼50cm, 나비 8∼12mm이고 밑부분이 잎집처럼 된다. 꽃은 5∼6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수상꽃차례의 마디에 3..
2010.08.01 -
꽃범의꼬리
자연학습장 꼬리풀과 부처꽃이 섞여 피어있는 화단에서 꼬리풀과 까치수영과 비슷한 꽃을 보았다. 무슨꽃인지 몰라 여름에피는꽃을 다 뒤졌더니 그 이름이 꽃범의꼬리라는 야생화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원예용 식물로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전국의 화단이나 공원에서 볼 수 있다. 본명 "피소스테기아"이다. 크기는 80㎝ 내외로 자라는데, 줄기는 네모지며 잎은 마주 나고 줄기와 잎 사이에서 가지가 갈라져 꽃을 피우며 꽃모양은 물고기가 입을 벌린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한 포기만 심어도 뿌리로 번식하며 무리 지어 자란다. 꽃대의 길이는 보통 30㎝정도로 7~9월에 꽃이 아래로부터 차례 방울 같은 작은 꽃이 피어 올라가는데 마치 모양새가 이름처럼 범의 꼬리같은 느낌이다. 꽃빛은 홍도,자적,등백색 등 많다. 주택가의 화..
2010.07.31 -
안산공원의 원추리꽃
안산뒤 홍제동 예전 공무원아파트가 있던자리에 안산공원(홍제지구)가 조성되었다. 그 공원에는 유난히 원추리 비비추가 많이 심어져있다. 참나리 겹참나리도 많다.원추리는 백합과에 속하는 숙근성 다년초이다. 아시아 동부의 난대에서 온대까지 10여종이 야생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제주, 경북, 전남북, 충남북, 강원, 경기, 황해, 함남북에 자생하고 있다. 원추리는 학명이 Hemerocallis fulva L.이고, 영명(英名)은 day lily 이다. 원추리는 각시원추리이고 그 다음은 골잎원추리이다. 개화기는 6~7월이며, 결실기는 9월에 삭과가 달린다. 용도는 식용, 관상용, 약용(뿌리)으로 쓰인다. 야생종은 황색과 적갈색이 있으나 원예종은 자색을 띤 분홍과 자홍색, 백색이 있다. 현재 원추리는 관상용으로는..
2010.07.30 -
안산의 겹꽃삼잎국화
황매화가 겹으로 피는 것처럼 꽃잎을 수북히 얹고 있어 자연학습장에 피어있는 노란꽃이 눈에 확 뜨여 한두번 찍어서 올렸지만 이름을 몰랐는데 오늘 알았다. 삼잎국화는 무성한 잎에 튼튼한 대궁을 소유하고 있다. 잎의 모양이 삼의 이파리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마치 불두화처럼 보글보글한 머리통을 닮은것 같기도 하지만 삼잎국화는 여름국화의 대명사하고 한다.겹꽃삼잎국화, 학명 Rudbeckia laciniata var. hortensis Bailey 이명 겹꽃삼잎국화, 삼잎국화 영명 Golden Glow 과명 국화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다년초 어린 잎은 식용 및 관상용. 잎은 어긋나며 근생엽은 3~7갈래로 천열하고 아래쪽 잎 우상복열한다. 경생엽은 3~5갈래로 천열하고 엽병이다. 가장 위쪽 잎은 아..
2010.07.29 -
안산의 누리장나무
10월에 이렇게 열매가 익는다. 언젠가 이꽃나무의 꽃피기전 사진을 찍어올리면서 이름을 몰랐었는데 오늘에사 찾았다. 누리장나무란다. 취오동, 해주상산, 취수, 취동, 야취포, 취추, 추골풍, 취동, 산오동, 누루장나무, 개똥나무, 노나무, 개나무, 구릿대나무, 누리개나무, 이라리나무, 누룬나무, 깨타리, 포화동이라는 다른이름으로 불리기도한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 꽃과 열매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심는다. 생약의 해주상산(海洲常山)은 잔 가지와 뿌리를 말린 것인데,한방에서 기침·감창(疳瘡)에 사용한다.누리장나무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마편초과의 낙엽활엽 관목. 학명 Clerodendrum trichotomum 분류 마편초과 분포지역 한국(황해·강원 이남)·일본·타이완·중국 등지 서식장소 산기슭이나 골짜기의..
2010.07.28